임종(臨終) | |
---|---|
수시(收屍) | |
발상(發喪) | |
장례일정/방법 | |
부고(訃告) |
염습(殮襲) | |
---|---|
반함(飯含) | |
입관(入棺) | |
영좌설치(靈座) |
故人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한다.(전통 상례) 영좌란 故人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는 자리로 사진(영정)에 검은 리본을 두른다. |
성복(成服) | 성복(成服)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(상제 . 고인의 배우자, 직계비속)와 복인(服人. 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)은 성복을 한다.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(屈巾祭服)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는다. 상복을 올바로 입는 법으로 |
문상(問喪) |
발인(發靷) |
영구가 집(장례식장)을 떠나는 절차이다.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 쪽이(종교적 차이가 있음) 먼저 나가야 한다. ※ 천주교는 하반신부터 나감 * 종교의식 |
---|---|
영결식(永訣) | 故人의 신분에 따라 가족장, 단체장, 사회장, 종교행사 등으로 하는데 단체장이나 사회장의 경우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주재한다. (종교행사일 경우 그 형식에 따른다.) |
운구(運柩) |
발인제가 끝난 후 영구를 장지까지 영구차나 상여로 운반하는 절차. 영구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영정, 棺(명정), 상주 및 유족, 문상객의 순으로 승차하고, 상여의 경우에는 영정, 명정, 영구(상여)가 앞서고 상주가 따르며 문상객이 따른다. |
하관(下棺) |
하관이란 장지에서 영구를 광중(壙中)에 넣는 것을 말한다. 하관 때에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哭은 하지 않는다. 관을 수평과 좌향(坐向)을 맞추어 반듯하게 내려 놓고 명정을 관 위에 덮는다. 횡대를 가로 걸친 후 상주는 흙(取土)을 棺 위에 세번 뿌린다. ( 횡대 사용은 지역별 및 家風에 따라 다를 수 있음.) |
성분 및 봉분 | |
반우제(返虞) |
葬地에서 위령제가 끝나면 상제들은 靈位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와 그 날 영혼을 집에 맞아 들이는 의식이며, 이를 반우제 또는 초우(初虞)라고도 한다. 반우제는 제물을 생략하고 배례나 묵도로 대신하여도 되고 이로써 삼일 장례는 끝나게 된다. |